영어 13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출제방향(영어영역)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출제방향(영어영역) 영어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영어 영역은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추어 ‘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달성 정도’와 ‘대학에서 수학하는 데 필요한 영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영어 영역의 구체적인 출제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되 교육과정 기본 어휘와 시험 과목 수준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사용하여 출제한다. 동일한 능력을 측정하는 유사한 문항 유형을 가감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모듈형 원칙에 따라 검사지를 구성한다. 영어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성을 강조하여 균형 있는 언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대입 2023.06.07

중학교 영어(쓰기)

중학교 영어(쓰기) 쓰기 중학교 1∼3학년군의 쓰기 영역 성취기준은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와 관련하여 문장 또 는 문단 단위의 글을 쓰고, 상황과 목적에 맞는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학습자들은 중학교 1∼3학년군의 쓰기 영역 성취기준을 달성함으로써 영어 표현 능력을 신장하며, 문자 언어에 대 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지하고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상황과 목적에 맞는 영어 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영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자기관리 역량 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9영04-01] 일상생활에 관한 주변의 대상이나 상황을 묘사하는 문장을 쓸 수 있다. [9영04-02] 일상생활에 관한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을 쓸 수..

학교 2023.05.28

중학교 영어(읽기)

중학교 영어(읽기) 읽기 중학교 1∼3학년군의 읽기 영역 성취기준은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세 부 내용이나 중심 내용 및 글의 논리적 관계를 이해하고 글의 행간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학습자들은 중학교 1∼3학년군의 읽기 영역 성취기준을 달성함으로써 영어 이해 능력 을 기를 수 있으며, 영어에 대한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지하고 영어 읽기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영어 읽기 능력 습득을 통해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영어로 표현된 정보를 수 집, 분석, 활용하는 지식정보처리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9영03-01] 문장을 의미 단위로 끊어 읽으면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9영03-02]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대상이..

학교 2023.05.27

중학교 영어(말하기)

중학교 영어(말하기) 말하기 중학교 1∼3학년군의 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은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와 관련된 실제적인 의사소통 중심의 학습 활동을 통해 의미를 교환하고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학습자들 은 중학교 1∼3학년군의 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을 달성함으로써 음성 언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지 하고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변의 친숙한 대상, 개인 생활 및 일상생활에 관한 다양한 주제, 상황, 과업을 활용한 말하기 활동을 통해 영어 표현 능력 함양과 더불어 대인 관계 능력 및 타인에 대한 배려와 관용 등의 공동체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9영02-01] 주변의 사람, 사물, 또는 장소를 묘사할 수 있다. [9영02-02] 일상생활에 관한 자신의..

학교 2023.05.26

중학교 영어(듣기)

중학교 영어(듣기) 듣기 중학교 1∼3학년군의 듣기 영역 성취기준은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 혹은 대화 를 듣고 그 흐름을 이해하며 중심 내용이나 세부 정보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학습자들은 중학교 1∼3학년군의 듣기 영역 성취기준을 달성함으로써 영어 이해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영어에 대한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지하고 영어 사용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인 생 활, 일상생활, 학교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주제 및 대상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제, 요지, 세부 정보 등을 파악하는 활동을 통해 지식정보처리 역량, 자기관리 역량, 공동체 역량 등을 기를 수 있게 한다. [9영01-01] 어구나 문장을 듣고, 연음, 축약된 소리를 식별할 수 있다..

학교 2023.05.25

고등학교 영어(쓰기)

고등학교 영어(쓰기) 쓰기 고등학교 영어의 ‘쓰기’ 영역에서는 목적, 상황, 형식에 맞는 글을 조리 있고 정확하게 쓰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학습자 중심의 활동, 과정 중심 활동, 동료 수정 활동 등을 통해 창의성과 올 바른 인성 및 매체를 활용하여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글의 맥락 및 목적에 맞도 록 타 문화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한 과정에서 문화적 정체성 및 다양성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등 공동체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다. [10영04-01]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하여 듣거나 읽고 세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10영04-02]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하여 듣거나 읽고 간단하게 요약할 수 있다. [10영04-03] 일상생활이나 친..

학교 2023.05.24

고등학교 영어(읽기)

고등학교 영어(읽기) 읽기 고등학교 영어의 ‘읽기’ 영역에서는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세부 정보와 중심 내용을 이해하고 논리적 구조를 파악하여 글을 종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 을 둔다. 과업을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 활동을 통해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와 학습 동기를 유발시 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으며 영어로 표현된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지 식정보처리 역량을 높일 수 있다. [10영03-01]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세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10영03-02]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제 및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10영03-03]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논리적 관계를..

학교 2023.05.23

고등학교 영어(말하기)

고등학교 영어(말하기) 말하기 고등학교 영어의 ‘말하기’ 영역에서는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주어진 상황과 목적 에 맞게 표현하는 능력을 계발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데 중점을 둔다.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자신감 있게 표현하도록 의사소통 전략을 함께 지도하여 자기관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모둠 활동과 같은 학습자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여 배려와 관 용, 대인 관계 능력 등 공동체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0영02-01]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하여 듣거나 읽고 세부 정보를 설명할 수 있다. [10영02-01]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하여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말할 수 있다. [10영02-01] 일..

학교 2023.05.21

고등학교 영어(듣기)

고등학교 영어(듣기) 듣기 고등학교 영어의 ‘듣기’ 영역에서는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세부 정보와 중 심 내용을 이해하며, 목적 및 상황에 맞게 영어로 의사소통하는데 중점을 둔다. 실제적인 의사소통에 서 사용할 수 있는 언어 표현을 이해하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여 영어에 대한 흥미, 관심, 동기를 유 지시킴으로써 자기 주도적으로 영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10영01-01]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세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10영01-02]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제 및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10영01-03]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논리적 관계을 파악할 수 있다. ..

학교 2023.05.21

2024학년도 수능의 주요 특징과 국어/수학/영어 영역의 출제방향, 출제범위와 문항수, 배점

2024학년도 수능의 주요 특징과 국어/수학/영어 영역의 출제방향, 출제범위와 문항수, 배점 2024학년도 수능의 주요 특징 2024학년도 수능은 모든 영역에 2015 개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시험입니다. 한국사 영역은 필수로 지정되어 모든 수험생이 응시하여야 합니다. 국어,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시험으로 시행됩니다. 영어 영역, 한국사 영역,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로 시행됩니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에서는 사회・과학탐구 영역 17개 선택과목에서 최대 2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직업탐구 영역에서는 6개 선택과목에서 최대 2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으나 2개 과목 선택 시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을 필수로 선택해야 합니다. 영역(과목)별 문항 수와 배점, 시험 순서, E..

대입 2023.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