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진로선택,
나는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하는가?
◆ 금형설계과 ◆
금형설계과
Ⅰ. 금형설계과는 이런 학생이 선택해야...
금형설계과를 선택하기 위한 적합한 학생의 특성을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공학적인 관심과 열정
금형설계과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을 설계하는 전문 분야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기계공학, 재료공학, 제조공학 등과 같은 다양한 공학적 지식과 원리에 근간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이러한 주제에 대한 깊은 이해와 끊임없는 탐구심,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열정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2.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금형설계과는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창의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실제 제품 생산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내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3. 세심한 관찰력과 정확성
금형설계과에서는 제품의 세부 사항에 대한 섬세한 주목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학생들은 제품의 치수, 형상, 조립 과정 등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세심한 관찰력과 정확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4. 협업과 의사소통 능력
금형계과는 제조 공정에서 다른 팀원들과의 협업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과 협업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5. 인내심과 문제 해결 능력
금형설계과에서는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인내심과 함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 요구됩니다.
이상과 같이, 금형설계과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공학적인 관심과 열정,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세심한 관찰력과 정확성, 협업과 의사소통 능력, 인내심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갖춘 학생이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재능과 성격을 가진 학생들은 금형설계과에서 성공적인 학업과 진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Ⅱ. 금형설계과 개요
금형설계과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물건들, 스마트폰, TV, 자동차, 냉장고 등의 금형이 사용되고 있는 제품의 질적 향상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발전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금형설계과는 3D설계(제품설계, 금형설계, 공정설계, 역설계), CAM프로그래밍, CAE해석, 공작기계조작 등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배우며 금형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금형설계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에 교육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Ⅲ. 금형설계과 관련 직업
금속가공장치조작원, 금속공학기술자, 금형원, 단조원, 도금원, 압연원, 제관원, 주조원, 판금원
Ⅳ. 금형설계과 관련 자격
건설기계산업기사, 금속재료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사출금형산업기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 치공구설계산업기사, 프레스금형산업기사
Ⅴ. 금형설계과 특성
금형설계과는 철 및 비철금속 재료를 형상과 치수로 사출해내는 사출금형설계 분야,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고품질의 제품을 만들어내는 정통 기계분야인 프레스금형설계 분야 등 다양한 금형설계의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Ⅵ. 금형설계과 졸업 후 진출분야
● 기업 및 산업체
금속 분야 기업체, 화학, 신소재 관련 개발 회사
● 정부 및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공공기관
Ⅶ. 공부하는 주요 교과목
● 금속재료
금속의 성질이 변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먼저 설명하고, 금속의 성질을 변하게 하는 방법들에 대하여 연구하며, 현장에서 활용하는 방법들과 금속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배웁니다.
● 사출금형기초
산업용품, 가정용품, 의료용품 및 생활가전용품의 성형에 있어서 정밀도, 내구성, 사용자의 요구 특성에 맞는 플라스틱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사출금형 기초교육을 학습합니다.
● 프레스금형기초
가공의 고정밀도, 고속 대량생산 등이 가능한 소성이론과 소성가공 방법에 대하여 공부하고 각종 가전제품,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의 부품 생산에 사용되는 압연, 전조, 압출, 인발 및 고에너지 가공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합니다.
● CAM프로그래밍(Computer Aided Manufacturing Programming)
핸드폰, 자동차부품, LCD 모니터, 등을 3차원 모델링하여 사출금형에서 매우 중요한 Cavity와 Core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CNC Machine을 활용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실습합니다.
● CAD 프로그램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도 규칙에 따른 3D 형상을 모델링을 해보고, 제작 전 형상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학습합니다.
Ⅷ. 개설대학
부산광역시 | 한국폴리텍 VII 대학 부산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디자인과 |
인천광역시 | 한국폴리텍 II 대학 인천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디자인과 |
인천광역시 | 한국폴리텍 II 대학 인천캠퍼스(제1캠퍼스) | 스마트금형과 |
인천광역시 | 한국폴리텍 II 대학 인천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공학과 |
인천광역시 | 한국폴리텍 II 대학 인천캠퍼스(제1캠퍼스) | 스마트금형과(스마트금형) |
인천광역시 | 한국폴리텍 II 대학 인천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디자인과(스마트금형) |
대구광역시 | 영진전문대학교(제1캠퍼스) | 스마트금형과 |
대구광역시 | 한국폴리텍 VI 대학 대구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디자인과 |
대구광역시 | 한국폴리텍 VI 대학 대구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디자인과(정밀금형) |
대구광역시 | 한국폴리텍 VI 대학 대구캠퍼스(제1캠퍼스) | 스마트제품디자인과(정밀금형) |
광주광역시 | 한국폴리텍 V 대학 광주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디자인과 |
경기도 | 경기과학기술대학교(제1캠퍼스) | 금형디자인과 |
경기도 | 유한대학교(제1캠퍼스) | 3D프린팅금형공학과 |
경기도 | 유한대학교(제1캠퍼스) | 3D프린팅금형학과 |
경기도 | 한국폴리텍 I 대학 성남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디자인과 |
강원특별자치도 | 강릉영동대학교(제1캠퍼스) | 에너지신소재과 |
경상남도 | 한국폴리텍 VII 대학 창원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공학과 |
경상남도 | 한국폴리텍 VII 대학 창원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가공시스템과 |
경상남도 | 한국폴리텍 VII 대학 창원캠퍼스(제1캠퍼스) | 스마트융합금형과 |
경상남도 | 한국폴리텍 VII 대학 창원캠퍼스(제1캠퍼스) | 금형디자인과 |
더 많은 학과 탐방 ☞ | https://education100.tistory.com/ |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공학과 - 학생들의 진로선택, 나는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하는가? (0) | 2024.02.10 |
---|---|
기계·재료공학교육과 - 학생들의 진로선택, 나는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하는가? (1) | 2024.02.10 |
금융보험학과 - 학생들의 진로선택, 나는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하는가? (1) | 2024.02.10 |
금융경영과 - 학생들의 진로선택, 나는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하는가? (0) | 2024.02.10 |
금속공학과 - 학생들의 진로선택, 나는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하는가? (0)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