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2024년 대입 고3 학년초정시모집의 이해와 대비 (2023 대입 정시모집 결과 분석)

교육지키미 2023. 4. 18. 13:15

2024년 대입 고3 학년초

정시모집의 이해와 대비

(2023 대입 정시모집 결과 분석)

출처 :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세부적인 내용은 각 대학이 발표하는 최종 전형 요강을 통해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3 대입 정시모집 결과 분석

. 2023 수능 출제 경향 분석

1) 국어

등급 구분 원점수(추정)

등급 원점수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1 94 89
2 88 84
3 81 77
... ... ...

 

최고 표준점수 추이

 

표준점수 누적분포

2023 수능 (참고) 2022 수능

 

2023 수능 (참고) 2022 수능
표준점수 남자 여자 인원 백분위 등급 표준점수 남자 여자 인원 백분위 등급
134 218 153 371 100 1 149 15 13 28 100 1
133 469 284 753 100 1 147 18 15 33 100 1
132 135 109 244 100 1 146 38 29 67 100 1
131 1,053 660 1,713 100 1 145 68 45 113 100 1
130 1,135 769 1,904 99 1 144 98 56 154 100 1
129 969 810 1,779 99 1 143 194 138 332 100 1
128 2,237 1,909 4,146 98 1 142 155 102 257 100 1
127 1,996 1,690 3,686 97 1 141 331 213 544 100 1
126 2,645 2,617 5,262 96 1 140 228 135 363 100 1
125 3,788 3,511 7,299 95 2 139 504 353 857 99 1
124 3,806 3,966 7,772 93 2 138 516 387 903 99 1
123 4,365 4,092 8,457 91 2 137 537 418 955 99 1
122 3,756 3,876 7,632 89 2 136 856 588 1,444 99 1
121 5,492 5,468 10,960 87 3 135 883 744 1,627 98 1
120 4,210 4,187 8,397 85 3 134 1,172 963 2,135 98 1
119 5,534 5,971 11,505 83 3 133 1,232 818 2,050 98 1
118 4,790 5,045 9,835 81 3 132 1,541 1,172 2,713 97 1
117 5,405 5,767 11,172 78 3 131 1,807 1,532 3,339 96 1
116 5,236 5,849 11,085 76 4 130 1,517 1,167 2,684 96 2

 

최고 표준점수의 추이를 살펴보면 작년 수능보다 쉬웠고 20229월 시행 평가원 모의고사와 비슷한 난도로 평가된다. 작년 수능 국어의 경우 1등급의 경우 표준점수에 따라 17개 구간으로 구분되어 있었는데 2023 수능 국어의 경우 9개의 구간으로 줄어들고 구간에 더 많은 수의 학생이 속하게 되었다. 따라서 2023 대입 정시에서 최상위권 대학과 모집단위의 국어의 영향력은 2022 대입보다 낮았다.

 

표본 등급점수 분포(추정)

등급 2023 수능 (참고)2022 수능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1 85.58% 14.42% 70.88% 29.12%
2 62.99% 37.01% 56.69% 43.31%
3 58.49% 41.51% 44.25% 55.75%
4 47.30% 52.70% 35.47% 64.53%
5 34.88% 65.12% 25.44% 74.56%
...        
전체 41.44% 58.56% 31.91% 68.09%

2023 수능 국어의 선택과목별 최고 표준점수는 언어와 매체는 134, 화법과 작문은 130점으로 확인되었다. 자료에서 국어 1등급 학생들의 언어와 매체 비율은 85.58%2022 수능의 70.88%보다 14.7%P나 높았다. 이는 2023 수능의 수학과 같이 선택 유불리에 따라 최상위 학생들의 언어와 매체 쏠림현상이 심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2) 수학

등급 구분 원점수(추정)

등급 원점수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1 88 85 86
2 78 75 76
3 67 64 65
... ...   ...

 

표준점수 누적분포

 

2023 수능 (참고) 2022 수능
표점 남자 여자 인원 백분위 등급 표점 남자 여자 인원 백분위 등급
145 797 137 934 100 1 147 2,163 539 2,702 100 1
143 66 17 83 100 1 146 21 3 24 99 1
142 1,656 405 2,061 100 1 145 173 31 204 99 1
140 45 17 62 99 1 144 2,735 785 3,520 99 1
139 3,230 976 4,206 99 1 143 6 - 6 98 1
138 5 2 7 98 1 142 126 30 156 98 1
137 104 26 130 98 1 141 2,451 858 3,309 98 1
136 4,706 1,753 6,459 98 1 140 1,103 353 1,456 98 1
135 538 206 744 97 1 139 135 25 160 97 1
134 240 79 319 97 1 138 978 392 1,370 97 1
133 5,306 2,260 7,566 96 1 137 3,687 1,437 5,124 96 1
132 1,988 942 2,930 94 2 136 161 53 214 96 2
131 462 176 638 94 2 135 1,559 664 2,223 95 2
130 4,646 2,220 6,866 93 2 134 4,287 1,797 6,084 95 2
129 4,047 2,315 6,362 92 2 133 160 66 226 94 2
128 971 375 1,346 91 2 132 786 320 1,106 94 2
127 3,817 1,880 5,697 90 2 131 5,846 2,867 8,713 92 2
126 5,839 4,028 9,867 88 2 130 737 303 1,040 91 2
125 1,553 751 2,304 87 3 129 902 383 1,285 91 2

 

수학의 최고 표준선수는 145점으로 작년 147점에 비해 2점 하락하였다. 하지만 미적분 만점 학생의 수는 2,702명에서 934명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작년 1~2개의 최고 난도 문제는 올해의 문제보다 어려웠지만, 정답을 구하기가 까다로운 문제가 3~5개의 문항 고루 출제되어 이를 모두 맞추기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학에서 틀린 문제 수는 합·불에 큰 영향을 주었다.

수학의 여학생 1등급 인원은 4,453명에서 5,878명으로, 2등급 인원은 10,906명에서 17,814명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예년보다 선호도가 높은 여대의 합격 성적이 높아졌다.

수학 1등급 전체인원을 살펴보면 2023 수능은 22,517명으로 18,031명에 비해 4,486명이 증가하였다. 이는 표준점수 133(미적분 추정 원점수 84)의 경우 인원이 7,566명이나 되기 때문에 5%가 넘는 백분위에도 1등급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높은 최저기준을 적용하는 최상위권 대학과 의예, 약학 등의 모집단위의 수능 최저통과 비율이 증가하였고 수시이월 인원은 감소하였다.

 

수학 등급별 국어 등급 분포(추정)

2023 수능

국어등급
수학등급
1 2 3 4 5 ...
1 33.90% 24.30% 22.99% 12.95% 4.47% ... 100%
2 16.37% 19.56% 25.39% 22.87% 11.59% ... 100%
3 7.71% 14.25% 22.76% 27.22% 19.53% ... 100%

 

(참고) 2022 수능

국어등급
수학등급
1 2 3 4 5 ...
1 37.03% 27.39% 18.79% 9.97% 4.36% ... 100%
2 17.52% 24.41% 23.46% 18.27% 9.79% ... 100%
3 7.27% 16.50% 22.88% 24.08% 16.80% ... 100%

 

2023 수능에서는 예년보다 국어점수와 수학 점수의 상관관계가 낮아졌다. 2022 수능에서는 수학 점수가 높은 학생이 국어점수도 높아 국어 반영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인문 모집단위를 교차지원 하는 것에 부담이 적었지만 2023 수능에서는 상대적으로 교차지원이 더 어려운 환경이었음을 알 수 있다.

 

3) 영어

1~3등급 인원 비율

 

2023 수능의 1등급 비율은 7.83%2022 수능의 6.25%에 비해 1.58%P 증가했으나, 2, 3등급을 합친 비율은 46.8%에서 40.42%로 큰 폭(6.38%P)으로 줄어들었다. 따라서 영어 2~3등급대 학생이 주로 지원하는 수도권 중상위 대학의 경우 2023 수능 영어 성적의 영향력은 예년에 비해 컸다.

 

4) 탐구

사회탐구 등급 구분 원점수(추정)

등급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1 44 47 44 47 48 50 47 50 48 50
2 40 45 39 44 45 47 43 47 44 47
3 35 42 33 39 40 42 37 43 39 43
4 31 35 26 32 32 34 30 33 27 31
등급 동아시아사 정치와 법 경제 사회문화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1 50 50 42 50 45 50 42 46
2 47 47 38 48 40 47 39 43
3 42 42 32 45 33 42 34 40
4 33 34 26 40 26 32 29 35

 

사회탐구 표준점수 누적분포

동아시아사를 제외하고 나머지 과목들이 지난 수능과 비슷하거나 이보다 어렵게 출제 되었다. 특히 학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를 작년보다 어렵게 출제하여 학생들의 체감 난이도를 올렸다. 따라서 예년과 비교해 2023정시 사회탐구가 합·불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히 높았다.

 

과학탐구 등급 구분 원점수(추정)

등급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1 47 43 43 45 43 42 43 43
2 42 40 38 43 40 39 39 38
3 35 35 33 40 35 36 33 33
4 29 30 25 36 28 31 27 26
등급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1 44 47 43 47 45 46 46 40
2 38 43 38 44 40 43 43 36
3 33 39 33 37 34 39 35 31
4 22 31 27 30 22 32 28 25

 

과학탐구 표준점수 누적분포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표점 인원 백분위 등급 표점 인원 백분위 등급 표점 인원 백분위 등급 표점 인원 백분위 등급
70 1,497 99 1 75 315 100 1 72 183 100 1 73 91 100 1
68 723 97 1 73 150 99 1 70 350 100 1 72 74 100 1
67 1,531 95 1 72 543 99 1 69 526 99 1 71 803 100 1
66 1,395 93 2 71 53 99 1 68 212 99 1 70 50 99 1
65 930 91 2 70 672 98 1 67 1,500 99 1 69 743 99 1
64 955 89 2 69 809 97 1 66 925 98 1 68 3,547 98 1
63 1,498 88 3 68 298 96 1 65 1,775 97 1 67 482 96 1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표점 인원 백분위 등급 표점 인원 백분위 등급 표점 인원 백분위 등급 표점 인원 백분위 등급
71 7 100 1 73 4 100 1 71 14 100 1 67 74 99 1
70 22 99 1 71 1 100 1 69 12 100 1 66 45 97 1
69 9 99 1 70 26 99 1 68 62 99 1 65 86 94 2
68 3 98 1 69 2 99 1 67 8 98 1 64 18 92 2
67 42 98 1 68 24 98 1 66 104 97 1 63 163 89 2
66 81 95 1 67 53 97 1 65 161 94 2 62 58 85 3
65 55 93 2 66 7 96 1 64 152 91 2 61 92 82 3

 

과학탐구에서 지구과학를 제외한 모든 과목의 최고 표준점수는 70점 이상으로 변별력을 유지하였다. 탐구과목 중 가장 변별이 높은 과목은 화학으로 최고 표준점수는 75점을 기록하였다. 표준점수를 그대로 반영하는 서울대의 경우 난도가 높아진 화학, 물리학, 화학의 응시 학생은 예년보다 대학별 환산점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였고, 지구과학응시 학생은 상대적으로 불리하게 되었다.

 

탐구 조합별 비율(추정)

순위 사회탐구 과학탐구
선택조합 비율(%) 선택조합 비율(%)
1 생활과 윤리-사회문화 20.48 생명과학-지구과학 19.71
2 생활과 윤리-윤리와 사상 6.05 물리학-지구과학 8.51
3 한국지리-세계지리 1.94 화학-생명과학 8.28

 

탐구 조합의 순위는 위와 같았다. 같은 수의 문제를 맞히더라도 조합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점수가 다르게 산출되는 만큼 이를 반영한 대학별 환산점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 2022 정시 성균관대 사회과학계열(최초합 기준)
성균관대 사회과학계열은 국어, 수학 반영 비율이 같았고, 합격생과 불합격생의 국어, 수학의 점수합도 같았다. 합격생은 생윤에서 1문제, 윤사 1문제를 틀렸고, 불합격생은 세계사를 다 맞았고 동아시아사에서 1문제를 틀렸지만 탐구 선택에 의해 더 많이 틀린 학생이 합격을 하게 되었다.

 

탐구 변환표준점수

최상위권에서 탐구 선택에 따른 유불리를 완화하기 위해 대학별 환산점에서 표준점수를 반영하는 일부 대학은 일반적인 산출 공식에 따라 탐구의 백분위를 기준으로 변환표준점수를 적용한다. 하지만 대학별로 원하는 유형과 성적대의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산출된 변환표준점수를 변형하여 적용하고 있다. 과학탐구가 상당히 유리했던 2023 수능과 다르게 2023 수능의 경우 사회탐구의 변별력이 증가에 따라 2022정시에서처럼 과탐 선택자의 인문 교차지원을 제한하기 위해 사회탐구의 점수를 높게 보정하는 대학의 수는 감소하였고, 일반적인 공식으로 산출한 점수를 그대로 반영하는 학교가 늘어났다.

백분위 2023 일반공식 산출 2022 일반공식 산출 2023 성균관대 2022 성균관대
사탐 과탐 사탐-과탐 사탐 과탐 사탐-과탐 사탐 과탐 사탐-과탐 사탐 과탐 사탐-과탐
100 70 71.5 -1.5 66 71 -5 72 70 2 69.5 68 1.5
99 68.77 69.62 -0.85 65.77 68.75 -2.98 70.78 69.63 1.15 69.27 67.8 1.47
98 67.88 67.81 0.07 65.56 67.54 -1.98 70 68.8 1.2 69.06 67.54 1.52
97 67.11 66.97 0.14 65.33 66.6 -1.27 68.62 67.89 0.73 68.83 67.12 1.71
96 66.41 66.37 0.04 64.94 65.95 -1.01 67.92 66.83 1.09 68.44 66.72 1.72
95 65.87 65.7 0.17 64.62 65.39 -0.77 66.88 66.42 0.46 68.12 65.9 2.22
94 65.4 65.22 0.18 64.32 64.96 -0.64 65.91 65.87 0.04 67.82 65.3 2.52
93 64.93 64.79 0.14 64.05 64.39 -0.34 64.94 65.3 -0.36 67.55 64.65 2.9
92 64.42 64.35 0.07 63.76 63.91 -0.15 64.43 64.77 -0.34 67.26 63.91 3.35
91 64.03 63.79 0.24 63.49 63.53 -0.04 64.04 64.36 -0.32 66.99 63.53 3.46
90 63.65 63.37 0.28 63.23 63.11 0.12 63.66 63.38 0.28 66.73 63.11 3.62
89 63.3 62.95 0.35 62.87 62.79 0.08 63.31 62.96 0.35 66.37 62.79 3.58
88 62.87 62.52 0.35 62.61 62.44 0.17 62.88 62.53 0.35 66.11 62.44 3.67
87 62.53 62.17 0.36 62.35 62.05 0.3 62.54 62.18 0.36 65.35 62.05 3.3
86 62.19 61.85 0.34 62.07 61.77 0.3 62.2 61.86 0.34 64.57 61.77 2.8
85 61.87 61.53 0.34 61.81 61.48 0.33 61.88 61.54 0.34 63.81 61.48 2.33

 

2022 수능에서는 사회탐구의 변별력이 2023 수능 보다 낮았다. 이에 성균관대의 경우 지원이 예상되는 점수대의 사회탐구의 변환표준점수를 높여주어 전반적으로 과학탐구 응시자의 인문계열 모집단위의 지원을 어렵게 하였다. 하지만 2023 수능에서는 변환표준점수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백분위 100~95에서는 사회탐구가 유리하게 하여 최상위 인문 성향(확률과통계-사회탐구 조합) 학생들의 지원을 유도하는 한편, 상위권 자연 성향(미적분-과학탐구 조합) 학생 수가 많은 백분위 94~91에서는 오히려 과학탐구가 사회탐구보다 점수를 유리하게 하여 인문 모집단위에 교차 지원할 수 있도록 투 트랙으로 변환표준점수를 설계하였다.

 

 

 

. 2023 대입 정시지원 경향 분석

1) 2023학년도 수능 응시인원은 전년도에 비해 어떤 변화가 있나요?

2023학년도 수능 응시인원은 학령인구 감소 추세에 따라 재학생이 1만여 명 감소하였으나, 졸업생 등이 증가하여 전체 응시인원은 이전 연도와 비슷하였다. 전체 수능 응시인원에서 졸업생 등이 차지하는 비율은 처음으로 30%를 상회하였다.

 

[수능 응시인원 비교_졸업 연도별]

구분 인원() 비율(%)
재학생 졸업생 등 재학생 졸업생 등
2023 308,284 139,385 447,669 68.9 31.1 100
2022 318,693 129,445 448,138 71.1 28.9 100
증감 -10,409 9,940 -469 -2.3 2.3 -

 

선택과목별 응시인원을 비교해 보면 자연계열로 추정되는 수험생의 증가가 눈에 띈다. 과학탐구 응시자가 이전 연도와 비교해 4천여 명 증가하였고, 수학에서 미적분 선택 수험생이 2만여 명 증가하였다.

 

 

[수능 응시인원 비교_선택과목별]

구분 국어 수학 탐구
화법과작문 언어와매체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사회 과학
인원
()
2023 28,956 156,478 206,863 194,798 27,305 210,528 210,834
2022 31,269 133,889 222,011 170,484 37,304 215,482 206,550
증감 -2,312 22,589 -15,148 24,314 -9,999 -4,954 4,284
비율
(%)
2023 64.9 35.1 48.2 45.4 6.4 48.1 48.2
2022 70.0 30.0 51.6 39.7 8.7 49.2 47.2
증감 -5.1 5.1 -3.4 5.7 -2.3 -1.1 1.0

 

통합형 수능이 처음 실시된 2022학년도 수능에서 선택과목에 따른 점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에 따라 2023학년도 수능에서는 일부 과목으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난 결과로 추정된다.

 

2) 2023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수시이월 인원 규모는 어떠했는가?

모집인원 규모의 변화는 경쟁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입시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정시모집의 경우에는 모집요강에 명시된 최초 모집인원 이외에 수시전형에서 선발하지 못해 이월시키는 이월인원이 변수가 되는 사례가 있다.
전국 182개 대학의 최초 모집인원을 비교해 보면 2023정시에서는 지난해 66,343명보다 4,855명 축소된 61,488명을 선발할 계획이어서 지난해보다 정시 문이 다소 좁아질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수시모집 미충원 인원이 비수도권 중심으로 지난해보다 증가함에 따라 최종 인원은 다소 증가하였다.

 

[정시모집 수시 이월인원 규모 비교_수도권 vs 비수도권]

지역 구분 2023정시 2022정시 증감(전년 대비)
선발인원() 최초인원
대비
이월인원 비율(%)
선발인원() 최초인원
대비 이월인원 비율(%)
모집인원() 이월 인원
최초 최종 이월 최초 최종 이월 최초 최종 인원() 비율(%)
수도권 37,555 39,549 1,994 5.3 37,012 39,478 2,466 6.7 543 71 -472 -19.1
비수도권 23,933 48,333 24,400 102.0 29,331 51,349 22,018 75.1 -5,398 -3,016 2,382 10.8
61,488 87,882 26,394 42.9 66,343 90,827 24,484 36.9 -4,855 -2,945 1,910 7.8

 

수시 이월 인원의 규모는 대학 선호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데, 2023정시에서 수도권 소재 대학은 19.1% 감소하고 비수도권 소재 대학은 10.8% 증가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수험생들의 수도권 소재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아짐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로 추정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면, 수도권은 최초 모집인원과 비교해 5.3% 증가한 39,549명을 선발하게 되었고, 비수도권은 최초 모집인원보다 무려 102%가 증가한 48,333명을 선발하게 되어 전국적으로 보면 총 87.882명을 선발하였는데, 이는 최초 모집인원보다 42.9%가 증가한 인원이다. 지난해 모집 규모보다 18.4%(5,398)를 축소한 비수도권에서 수시 이월인원이 지난해보다 2,382명이 더 증가한 점은 비수도권 대학들이 학생 선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이월 인원 규모 확대로 비수도권 소재 대학들의 경쟁률은 전체적으로 볼 때 다소 하락할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시모집 수시 이월 인원 규모 비교_권역별]

지역구분 2023정시 2022정시 증감(전년 대비)
선발인원() 최초인원 대비
이월인원 비율(%)
선발인원() 최초인원 대비
이월인원 비율(%)
모집인원() 이월 인원
최초 최종 이월 최초 최종 이월 최초 최종 인원() 비율(%)
서울 ()상위권 23,934 24,783 849 3.5 23,684 24,768 1,084 4.6 250 15 -235 -21.7
수도권 중상위권 8,592 8,791 199 2.3 8,206 8,473 267 3.3 386 318 -68 -25.5
서울 수도권 4,432 5,160 728 16.4 4,546 5,432 886 19.5 -114 -272 -158 -17.8
교대 1,524 1,904 380 24.9 1,542 1,912 370 24.0 -18 -8 10 2.7
지역거점국립대 9,896 11,423 1,527 15.4 10,534 12,212 1,678 15.9 -638 -789 -151 -9.0
강원권 1,233 2,775 1,542 125.1 1,456 2,836 1,380 94.8 -223 -61 162 11.7
충청권 4,294 10,505 6,211 144.6 5,947 11,532 5,585 93.9 -1,653 -1,027 626 11.2
대구경북권 2,562 5,936 3,374 131.7 3,540 7,013 3,473 98.1 -978 -1,077 -99 -2.9
전북권 629 2,903 2,274 361.5 928 3,005 2,077 223.8 -299 -102 197 9.5
광주전남권 1,168 5,534 4,366 373.8 1,659 4,559 2,900 174.8 -491 975 1,466 50.6
부울경권 2,927 7,528 4,601 157.2 4,000 8,414 4,414 110.4 -1,073 -886 187 4.2

 

수시 이월 인원을 지역 권역별로 구분해 보면 지역에 따라 이월 인원 규모의 차이가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월 인원 규모가 큰 순서로는 충청권 > 부울경권 > 광주전남권 순이고, 최초 모집인원 대비 수시 이월 인원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는 광주전남권 > 전북권 > 부울경권 순이다. 또한, 지난해 이월 인원과 비교해 증가한 비율순으로 보면 광주전남권 > 강원권 > 충청권 순이다.
결국,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소재 대학들은 이원 인원 규모나 증가 비율에서 수도권과 큰 차이를 보여, 수시모집과 정시모집 모두에서 선발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3) 2023학년도 정시모집의 경쟁률은 어떤 특징을 보였는가?

 

[정시모집 경쟁률 변화 비교_대학별 2022정시 vs 2023정시 경쟁률]

구분 대학 수(개 교) 비율(%)
상승 하락 상승 하락
서울 ()상위권 4 21 25 16.0 84.0 100
수도권 중상위권 4 6 10 40.0 60.0 100
서울 수도권 23 2 25 92.0 8.0 100
지역거점국립대 4 5 9 44.4 55.6 100
지역 소재대 67 40 107 62.6 37.4 100
합계 102 74 176 58.0 42.0 100

 

전국 176개 대학의 대학별 평균 경쟁률을 비교해 보면 102개 대학의 경쟁률은 상승하였고, 74개 대학의 경쟁률은 하락하여, 2023 정시모집에서는 경쟁률이 대체로 상승했다고 말할 수 있을 듯하다. 그런데 이런 경쟁률은 지역에 따라, 선호도에 따라 차이가 크다. 서울지역에서 선호도가 높은 25개 대학 기준으로 보면 84%가 하락하였고, 수도권 중상위권 10개 대학 중에서는 60%가 하락하였다. 다만 서울 수도권 대학 중에서도 선호도가 다소 낮은 25개 대학들의 경쟁률은 92%가 상승하여, 2023 정시에서는 서울 수도권 ()상위권의 경쟁률은 하락하였고, 중하위권은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역 소재 대학들은 대체로 상승하였다.
경쟁률 변화를 통해 입시 결과를 이해하는 데는 단순한 경쟁률 변화 이해보다는 모집인원 변화와 지원 건수 변화도 함께 고려하여야 수험생들의 지원 경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정시모집 경쟁률 변화 비교_권역별 모집인원 vs 지원 건수 비교]

구분 모집인원 지원 건수 경쟁률
2023 2022 증감 2023 2022 증감 2023 2022 증감
서울 ()상위권 24,435 23,243 1,192 131,211 139,520 -8,309 5.4 6.0 -0.6
수도권 중상위권 7,707 7,877 -170 46,692 50,830 -4,138 6.1 6.5 -0.4
서울 수도권 5,278 6,097 -819 35,563 31,996 3,567 6.7 5.2 1.5
교대 2,128 2,104 24 3,977 4,626 -649 1.9 2.2 -0.3
지역거점국립대 11,498 12,079 -581 55,946 60,002 -4,056 4.9 5.0 -0.1
강원권 3,363 3,907 -544 10,113 10,905 -792 3.0 2.8 0.2
충청권 11,927 14,188 -2,261 49,829 50,202 -373 4.2 3.5 0.6

 

서울 ()상위권과 수도권 중상위권, 교대의 모집인원 변화와 지원 건수를 비교해 보면, 지원자 풀 자체가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서울 ()상위권의 경우에는 모집인원이 5.1%(1,192) 증가하여 정시 문이 다소 넓어질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지만, 졸업생 응시인원이 증가하고 미적분과 과탐 응시생이 증가한 점을 고려한다면 당연히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그런데 지원 건수가 전년 대비 6%(8,309)가 감소하여 경쟁률이 하락할 수밖에 없었다. 아마도 수능 고득점 수험생이 수시모집에서 많이 합격했거나, 수능 총점 구조가 목표로 하는 대학과 맞지 않아 타 대학에 하향 지원할 수밖에 없을 수도 있을 듯하다. 수도권 중상위권, 교대의 경우도 역시 지원 건수 자체가 크게 줄어든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반면에 서울 수도권 소재 중하위권 대학들의 경우에는 지원한 수험생이 많이 늘어난 사례이다. 모집인원은 13.4%(819) 축소되었는데, 지원 인원은 11.2%(3,567)나 증가하여 평균 경쟁률이 1.5:1 상승하였다. 강서대, 안양대, 신한대, 성결대, 삼육대는 평균 경쟁률이 9:1을 넘었으며, 전체 25개 대학 중 한국성서대, 루터대, 서울기독대, 화성의과학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5:1을 상회하는 경쟁률을 나타냈다. 수도권 소재 대학들의 경쟁률이 상승한 이유는 이들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상승했다기보다는 수능 점수가 만족스럽지 못한 수험생들의 선택지가 많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지역 소재 대학의 경우에는 경쟁률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원자가 늘어서가 아니라, 모집인원이 축소되어 경쟁률이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4) 2023 정시에서 경쟁률이 높은 모집단위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서울 ()상위권 대학과 의약학계열은 모집군별 모집인원 차이가 크고, 이에 따라 경쟁률 차이가 큰 편이다. 서울 ()상위 대학과 의약학계열의 다군 경쟁률은 가군/나군의 전체 평균 경쟁률보다 몇 배 높지만 전국 소재 대학 기준으로 보면 군별 경쟁률 차이는 크지 않다.

 

[모집군별 모집인원 vs 지원인원, 경쟁률 비교]

구분 가군 나군 다군 소계
서울 ()상위권 대학 모집인원() 11,200 9,959 3,243 24,402
지원인원() 47,432 45,801 37,877 131,110
경쟁률(N:1) 4.2 4.6 11.7 5.4
의약학계열 모집인원() 908 1,112 292 2,312
지원인원() 5,368 6,175 7,797 19,340
경쟁률(N:1) 5.9 5.6 26.7 8.4
전국 소재 대학 모집인원() 21,048 22,714 19,134 62,896
지원인원() 86,358 84,784 88,286 259,428
경쟁률(N:1) 4.1 3.7 4.6 4.1

 

지원 횟수에 제한을 받지 않는 대학들은 경쟁률이 높은 편이다. KAIST 같은 과학기술원이나 KENTECH, 산업대인 청운대의 일부 모집단위 경쟁률이 높았다.

 

[경쟁률 높은 사례1]

대학명 모집단위명 계열 모집군 모집인원 지원인원 경쟁률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자연 군외 10 1,238 123.8
한국에너지공대 에너지공학부 자연 군외 10 603 60.3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초학부 자연 군외 20 1,192 59.6
울산과학기술원 이공계열 자연 군외 10 541 54.1
한국과학기술원 자유전공학부 자연 군외 15 556 37.1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자연 군외 5 185 37.1
청운대 토목환경공학과 자연 군외 3 62 20.7
청운대 광고홍보학과 인문 군외 4 75 18.8

 

지원횟수 제한을 받지 않는 KAIST 등의 과학기술원과 KENTECH의 경쟁률은 매우 높은 편이며, 산업대도 모집단위에 따라 경쟁률이 높기도 하다.

 

환경적 요소 이외에 경쟁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일까?
경쟁률이 높아질 수 있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기 위해 의약학계열, 다군 모집단위, 모집인원 소규모 모집단위(10명 이하)를 제외하고, 140개 대학의 2,083개 모집 단위 중 경쟁률이 높았던 모집단위를 정리했더니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일부 사례는 대학 선호도나 모집 단위 선호도가 경쟁률 상승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기는 하지만, 사례 대부분에서는 일정한 규칙을 찾기 어려웠다.

 

[경쟁률 높은 사례2]

대학명 모집단위명 계열 모집군 모집인원 지원인원 경쟁률
한국외대 그리스불가리아학과 인문 11 156 14.2
가천대 사회복지학과 인문 15 200 13.3
추계예술대 영상시나리오과 인문 15 190 12.7
한양대 반도체공학과 자연 16 190 11.9
세종대 국어국문학과 인문 13 154 11.9
경동대 간호학과 자연 29 341 11.8
가천대 한국어문학과 인문 15 169 11.3
영남대 전공자유선택학부 인문 19 205 10.8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인문 21 225 10.7
한성대 상상력인재학부 인문 65 689 10.6
삼육대 경영학과 인문 19 200 10.5
한국외대 태국어과 인문 11 115 10.5
동덕여대 일어일본학전공 인문 16 165 10.3
한밭대 산업경영공학과 자연 11 113 10.3
삼육대 유아교육과 인문 14 142 10.1

[반도체 관련 모집단위 경쟁률]

대학명 모집단위명 경쟁률 대학명 모집단위명 경쟁률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시스템공학과 37.1 동아대 반도체학과 5.2
한양대 반도체공학과 11.9 고려대(세종) 지능형반도체공학과 5.1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11.2 세종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4.5
경상국립대 반도체공학과 8.6 호서대 반도체공학과 4.4
전북대 반도체과학기술학과 7.0 국민대 지능형반도체융합전자전공 4.3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6.7 한국공학대 나노반도체공학과 4.1
한국공학대 나노반도체공학과 6.6 단국대 융합반도체공학전공 4.0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6.5 고려대(세종) 디스플레이반도체물리학부 4.0
명지대 반도체공학과 6.4 상명대(천안) 시스템반도체공학과 3.7
한국해양대 나노반도체공학전공 6.4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 3.7
동국대 물리반도체과학부 5.4 서울과학기술대 지능형반도체공학과 3.3
아주대 지능형반도체공학과 5.3 중원대 전기반도체컴퓨터학부 0.2

 

반도체 관련 모집단위에 선호도는 대체로 높은 편이지만, 지역에 따라 다소 편차가 있는 편이다.

 

5) 선호도 높은 서울 소재 일부 대학들의 대학별 정시모집 경쟁률은 어떤 변화를 보였는가?

 

[서울 소재 일부 대학 전년 대비 계열별 경쟁률 비교]

구분 대학명 인문 자연
모집인원() 경쟁률(N:1) 모집인원() 경쟁률(N:1)
2023 2022 증감 2023 2022 증감 2023 2022 증감 2023 2022 증감
1그룹 경희대 814 770 44 3.9 4.8 -0.9 970 891 79 4.2 4.9 -0.7
고려대 718 808 -90 3.4 3.9 -0.4 850 807 43 3.7 3.5 0.3
서강대 374 384 -10 4.4 5.1 -0.7 254 237 17 5.9 5.7 0.2
서울대 452 381 71 3.2 3.9 -0.7 721 560 161 2.6 3.6 -1.0
서울시립대 341 355 -14 4.4 4.5 -0.1 379 400 -21 4.0 4.4 -0.4
성균관대 684 655 29 4.1 5.1 -1.0 737 745 -8 3.9 4.4 -0.5
연세대 838 840 -2 3.2 4.3 -1.0 663 671 -8 3.6 5.0 -1.4
이화여대 349 340 9 3.7 5.0 -1.3 439 442 -3 4.0 4.4 -0.4
중앙대 771 453 318 8.9 14.9 -6.0 879 639 240 8.7 11.1 -2.4
한국외대 1,052 1,099 -47 6.6 6.9 -0.4 321 278 43 6.6 6.2 0.4
한양대 436 430 6 4.2 4.6 -0.4 722 696 26 4.5 4.6 -0.1
소계 6,829 6,515 314 4.6 5.7 -1.2 6,935 6,366 569 4.7 5.3 -0.5
2그룹 건국대 391 401 -10 6.0 5.9 0.1 722 724 -2 6.1 7.3 -1.2
광운대 258 227 31 7.0 5.9 1.1 445 442 3 7.3 7.1 0.2
국민대 424 425 -1 6.6 6.8 -0.2 389 409 -20 5.4 5.5 -0.0
동국대 564 572 -8 4.6 5.4 -0.8 491 490 1 4.6 6.1 -1.4
상명대 269 268 1 4.0 4.9 -0.9 226 233 -7 4.3 5.5 -1.2
서울과기대 115 116 -1 6.1 5.9 0.2 644 632 12 4.0 4.5 -0.4
세종대 269 241 28 6.9 6.7 0.2 713 681 32 5.9 5.6 0.4
숙명여대 531 433 98 4.1 5.2 -1.1 369 307 62 4.0 5.1 -1.0
숭실대 499 482 17 5.0 6.5 -1.5 599 568 31 6.7 7.0 -0.3
홍익대 347 348 -1 16.4 17.7 -1.3 493 493 - 9.7 10.7 -1.0
소계 3,667 3,513 154 6.7 7.1 -0.4 5,091 4,979 112 5.8 6.4 -0.6
3그룹 덕성여대 215 237 -22 6.1 5.4 0.7 170 180 -10 6.1 7.6 -1.5
동덕여대 214 233 -19 7.7 6.9 0.9 138 139 -1 7.3 6.9 0.4
서울여대 404 383 21 8.6 7.3 1.3 243 253 -10 6.7 6.6 0.2
성신여대 282 279 3 4.9 5.5 -0.6 247 166 81 4.5 8.4 -3.9
소계 1,115 1,132 -17 6.8 6.3 0.6 798 738 60 6.2 7.4 -1.2
합계 11,611 11,160 451 6.0 6.4 -0.3 12,824 12,083 741 5.6 6.3 -0.8

 

서울 ()상위권 대학의 정시 경쟁률은 대부분 하락하였는데, 인문계열에서는 광운대와 서울여대의 경쟁률이 눈에 띄게 상승하였고, 동덕여대, 덕성여대, 세종대, 건국대 등은 소폭 상승하였다. 자연계열에서는 고려대, 동덕여대, 세종대 등 7개 대학은 경쟁률이 상승하였다.
이러한 경쟁률 변화는 전년도 입시 결과와 올해 영역별 반영 방법 등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수학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약점을 보이는 여학생들이 수학 반영 비율이 낮은 서울여대나 동덕여대, 덕성여대 등 여대에 많이 지원하거나, 지난해 입시 결과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광운대에 지원하여 경쟁률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6) 교대의 정시모집 경쟁률은 어떠했는가?

 

[전국 소재 교대 전년 대비 경쟁률 비교]

대학명 모집인원 지원인원 경쟁률
2023 2022 증감 2023 2022 증감 2023 2022 증감
서울교대 244 235 9 432 493 -61 1.8 2.1 -0.3
경인교대 254 240 14 348 436 -88 1.4 1.8 -0.4
춘천교대 181 113 68 392 282 110 2.2 2.5 -0.3
공주교대 179 175 4 337 432 -95 1.9 2.5 -0.6
청주교대 165 181 -16 399 479 -80 2.4 2.6 -0.2
전주교대 224 236 -12 466 523 -57 2.1 2.2 -0.1
광주교대 154 176 -22 306 376 -70 2.0 2.1 -0.1
대구교대 189 193 -4 335 397 -62 1.8 2.1 -0.3
대구교대 189 193 -4 335 397 -62 1.8 2.1 -0.3
부산교대 194 177 17 343 360 -17 1.8 2.0 -0.3
진주교대 155 185 -30 284 451 -167 1.8 2.4 -0.6
소계  2,128 2,104 24 3,977 4,626 -649 1.9 2.2 -0.3

 

2023학년도 정시에서 전국 10개 교대의 경쟁률은 일제히 하락하였다. 본격화되고 있는 학령인구 감소와 이에 따른 임용률 급감 등이 교원 수 감축 등과 맞물리며 수험생들의 교대 선호도가 급격히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쟁률이 많이 하락한 경인교대는 1단계에서 1.5배수를 선발하여 2단계에서 구술면접을 시행하고 최종 합격자를 발표하게 되는데, 최초 경쟁률이 1.37:1밖에 되지 않아 지원자 전원이 구술면접 대상자가 되었다. 이런 경인교대의 경쟁률 하락은 미리 예견되었는데, 정시모집인원이 타 교대와 비교해 30~118%나 큰 규모였으며, 수험생들이 꺼리는 면접을 10% 내외의 비중으로 진행하는 타 교대와 달리 30% 비중으로 실시하기 때문이다.

7) 의약학계열의 경쟁률은 어떠했는가?

2023 정시에서는 의약학계열의 경쟁이 예년보다 더 치열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통합형 수능의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문제, 수능에 응시한 졸업생의 증가, 미적분 응시생 증가 등의 환경적 요소를 통해 의약학 계열 진학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이 많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정시모집 경쟁률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데 실제 경쟁률은 예상보다 높지 않았고, 전체 의약학 계열 중 35.5%만이 상승하였고, 64.5%가 하락하였다.

 

[의약학계열 경쟁률 변화 비교]

구분 대학(전형) () 비율(%)
상승 하락 상승 하락
의학계열 수도권 6 17 23 26.1 73.9 100
비수도권 20 37 57 35.1 64.9 100
약학계열 수도권 8 10 18 44.4 55.6 100
비수도권 9 14 23 39.1 60.9 100
소계 43 78 121 35.5 64.5 100

 

[소계열별 권역별 지원현황 비교]

구분 지원현황 전년 대비 변화
모집인원() 지원인원() 경쟁률 모집인원() 지원인원() 경쟁률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의예 수도권 452 442 2,502 2,367 5.5 5.4 10 135 0.18
비수도권 499 677 4,368 5,897 8.8 8.7 -178 -1,529 0.04
치의예 수도권 135 127 561 633 4.2 5.0 8 -72 -0.83
비수도권 110 151 949 1,183 8.6 7.8 -41 -234 0.79
한의예 수도권 67 65 352 445 5.3 6.8 2 -93 -1.59
비수도권 175 244 2,109 3,797 12.1 15.6 -69 -1,688 -3.51
수의예 수도권 61 58 232 267 3.8 4.6 3 -35 -0.80
비수도권 128 129 1,389 2,076 10.9 16.1 -1 -687 -5.24
약학 수도권 466 485 3,689 4,043 7.9 8.3 -19 -354 -0.42
비수도권 213 292 3,371 4,379 15.8 15.0 -79 -1,008 0.83

 

수도권 의예과만 지원 인원이 증가하였고 나머지 모든 계열의 지원 인원이 감소하였다. 다만 일부 계열은 지원 인원이 감소했지만, 모집인원 감소 폭이 더 커 경쟁률은 다소 상승하기도 했다.

 

[소계열별 경쟁률 상위 대학]

소계열 대학명 모집군 모집단위 모집인원() 지원인원() 경쟁률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의예 인하대 의예과 16 12 497 359 31.1 29.9
동국대(WISE) 의예과 10 19 277 360 27.7 18.9
순천향대 의예과 27 38 620 829 23.0 21.8
대구가톨릭대 의예과 13 21 374 471 28.8 22.4
고신대 의예과 13 25 425 445 32.7 17.8
약학 삼육대 약학과 14 14 550 606 39.3 43.3
아주대 약학과 15 15 662 486 44.1 32.4
제주대 약학과 13 10 561 440 43.2 44.0
순천대 약학과 15 20 690 895 46.0 44.8
계명대 약학과 4 5 275 344 68.8 68.8
치의예 전남대 치의학과 4 5 47 49 11.8 9.8
강릉원주대 치의예과 22 20 368 386 16.7 19.3
한의예 동국대(WISE) 한의예과(유형2) 3 10 165 555 55.0 55.5
상지대 한의예과(B) 15 15 387 492 25.8 32.8
수의예 충북대 수의예과 21 21 174 249 8.3 11.9
제주대 수의예과 20 22 606 936 30.3 42.5

8) 접수 마감일 블라인드 시간대(오후 1/2~마감시간)에는 어떤 지원 경향성을 보였는가?

 

[서울 소재 일부 대학 블라인드 시간대 지원율 비교]

 

2023 정시에서도 지난해에 이어 신중한 지원 경향이 눈에 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영역별 점수 분포만 발표하고 총점 분포를 발표하지 않는 정시모집에서는 수시모집보다 눈치 경쟁이 다소 심할 수밖에는 없지만, 통합형 수능 실시 후에는 그러한 경향이 더욱 심해진 대학들도 있다. 지난해보다는 다소 축소되기는 했지만, 서울 시내 20개 대학의 블라인드 시간대 지원자 비율은 47.8%, 지원자의 절반 정도는 원서접수 마감일 오후에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권 20개 대학의 859개 모집단위 중 원서접수 마감일 오전까지 정원을 채우지 못하다가 마지막 구간에 경쟁률이 상승한 경우는 18.5%(159)였는데, 지난해에는 전체의 13.4%(115개 모집단위)였다.

 

9) 지난해에는 수학 미적분/기하 응시자들의 인문계열 모집 단위로의 지원이 많았다. 2023 정시에서는 어떠했는가?

각 대학이 공식적인 자료를 발표하지 않아 정확한 통계자료를 산출하기는 어렵지만, 수도권 소재 일부 대학의 입학처 관계자 확인 자료를 통해 분석해보면, 수학 미적분/기하 응시자들의 인문계열 모집단위 지원자 비율은 지난 해와 비슷하거나 다소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특히 수도권 중상위권 대학들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23 수능 출제 경향 분석 자료에서 보듯이, 중상위권의 국미기과와 국수탐 인원 차이가 심화하였고, 국미기과 고득점 학생 수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국민대는 지난해 백분위 기준으로 점수를 반영하다가 2023학년도에는 표준점수 기준으로 점수를 반영하여 수학 미적분/기하 응시자들의 인문계열 모집단위 지원자 비율이 대폭 상승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부 대학 인문계 모집 단위 지원자 중 미적분/기하 응시자 비율]

대학 지원자 비율(%) 대학 지원자 비율(%)
2023 정시 2022 정시 2023 정시 2022 정시
성균관대 25.2 25.5 단국대 24.3 16.0
인하대 50.0 39.8 가톨릭대 23.3 13.0
동국대 36.7 28.0 국민대 24.3 6.0
숭실대 28.0 22.8